항상 검을 줄로만 알았는데, 어느새 나도 흰머리가?
처음에는 그냥 새치인 줄 알고 넘어갔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이제는 한두 개만 나는 게 아니더라고요. 점점 흰머리가 많아져 멀리서도 머리가 하얗다는 걸 알 수 있고 스트레스도 상당히 많이 받게 됩니다. 흰머리가 이제는 노화의 상징의 시대는 지나간 것 같아요. 요즘은 20대, 30대 젊은 층에서도 스트레스로 인해 흰머리가 생겨 고민하는 분들이 많다고 하는데요.
유전적으로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조금이라도 흰머리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방법이 있어서 하나씩 알아보려고 합니다.
흰머리 없애는 법
우선 흰머리는 왜 생기는 걸까요? 흰머리 나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면, 머리카락의 색은 모근 세포인 멜라닌 세포가 모발에 색소를 공급하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이 멜라닌 세포가 없어지면서 흰머리가 나기 시작하는데요.
부모나 조부모가 흰머리가 나는 나이와 비슷하게 나는 유전적인 요인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젊은 층에서도 새치가 많이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만병의 원인인 스트레스나 두피 상태,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는 식습관에 따라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스트레스를 덜 받거나 두피 건강에 힘쓴다면 원상태로 복구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흰머리 없애는 법 알려드릴게요. 거울볼 때마다 늘어나는 흰머리로 고생하신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두피 마사지 하기
모근이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머리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가락이나 브러시 등으로 머리를 자극하여 두피 마사지를 하면 시원함은 물론 흰머리 예방에 좋습니다. 그리고 두피에 쌓여있는 유분기는 물론 노폐물, 비듬까지 제거할 수 있습니다.
운동하기
규칙적인 운동은 모공 속의 노폐물과 함께 땀이 배출되기 때문에 두피 건강에도 좋습니다. 그리고 하루 30분 운동을 통해서 신체리듬을 활발하게 해 주면 노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무리한 운동보다는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 보세요.
두피에 좋은 음식 골고루 먹기
흰머리는 영양소가 부족하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식습관도 흰머리 없애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두피의 모공까지 영양이 공급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게 좋은데요. 두피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는 미역, 김,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한 야채, 검은콩, 참깨 등이 있으니 꾸준하게 섭취하시길 바랍니다.
스트레스 해소하기
우리 몸속의 스트레스는 호르몬 분비 이상을 초래하기에 신체 밸런스까지 깨지게 됩니다. 충분한 휴식과 숙면을 취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일을 꼭 실천해보세요.
염색하기
흰머리 없애는 법으로 가장 쉬운 게 바로 염색이 아닐까 싶은데요. 매번 가는 미용실에서 염색하기가 비용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부담스러우신 분들이 많아 집에서 셀프염색을 하는 분들도 많으니 도전해보세요.
요즘에는 저자극, 천연성분, 발색력이 우수한 새치머리염색약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집에서 염색할 경우 알레르기 반응을 막기 위해 염색약을 귀 뒤쪽 머리카락 난 부분에 소량 도포하여 반응을 살펴보는 게 좋습니다. 48시간 내 이상이 없다면 흰머리 염색약을 진행해도 좋습니다.
올바른 삼푸 사용 꿀팁
샴푸는 많은 양을 짜서 쓰는 것보다 500원짜리 동전 크기 정도로만 짜서 충분히 거품을 내 머리를 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머리는 자기 전에 감는 것이 좋은데요. 하루 종일 쌓인 먼지, 노폐물, 땀 등이 머리를 감지 않고 그냥 자버리면 모공이 막혀 머리카락이 약해집니다. 가장 중요한 건 반드시 머리카락을 잘 말리고 자야 냄새도 나지 않고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눈에 보이는 흰머리를 계속 뽑게 되면 그 자리에 머리카락이 나지 않아 탈모로 이어질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새치가 발견되었다면 뽑지 말고 뿌리 가까이에서 잘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에 새치가 많거나 흰머리 나는 속도가 빠르신 분들이라면 제가 알려드린 흰머리 없애는 법이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흰머리 나는 거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건강한 모발을 위해 함께 노력해 보면 어떨까요? 오늘도 활기찬 하루 보내세요:D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발현 초기증상 순서는? (0) | 2020.12.01 |
---|---|
코로나19 백신 "90%이상 예방" 우리나라의 접종시기는? (0) | 2020.11.11 |
고구마 파종시기 중요하네~ (0) | 2020.11.03 |